티스토리 뷰

사용자마다 저마다 PC 사용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의 포인트가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무용 PC, 게임용 PC 등으로 분류되어 제각각 특성을 강조하여 빌드되는 편입니다.

 

소개드릴 코드명 르누아르(Renoir) 'AMD RYZEN 5 PRO 4650G'는 젠 2 기반의 프로세서로 지난해 큰 인기를 얻은 라이젠 3000번대 CPU의 성능을 계승하는 모델입니다. 무엇보다 1세대 APU의 베가(Vega) 기반의 그래픽 코어를 발전시킨 3세대 라이젠 APU로 내장 그래픽 사용을 위해 출시되었습니다.

APU는 그래픽 카드가 내장된 CPU를 뜻하는데 이 내장 그래픽 카드는 게임 성능이 중점적으로 필요한 환경이 아닌 사무 용도에 적합한 PC를 위해 제작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르누아르 라인업은 현존하는 내장 APU 중 가장 높은 그래픽 성능으로 거론되고 있는데, 라이젠 5 PRO 4650G에선 6코어 12스레드, 3.7GHz (부스트 4.2GHz) 그리고 라데온 그래픽 7의 7코어의 내장 그래픽이 탑재되었고 NVIDIA 650TI 수준의 3D 퍼포먼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캐주얼 게임이라 불리는 리그 오브 레전드, 오버워치 등의 인기 게임을 70~100프레임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성능을 의미합니다.

요컨대 젠 2기반 CPU 퍼포먼스로 영상 및 렌더링 같은 작업 용도에서 멀티 작업 성능이 양호하면서, 저사양~중급 사양 게임 플레이에 있어 무리가 없을 성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 RYZEN 5 PRO 4650G 제품 사양

 

 

▲ CPU 단품 판매가 되지 않기에 개별 박스 패키지가 없는 라이젠 5 프로 4650G

 

르누아르(Renoir)와 기존 라이젠 3세대의 차이점은 라데온 7 내장 그래픽 유무로 갈리지만, 근본적인 CPU의 핵심적인 성능은 케시 용량 차이로 서로 다른 면모를 보입니다.

 

스펙상 라이젠 5 3600과 라이젠 5 PRO 4650G는 3.6Ghz~3.7GHz (터보 4.2GHz)의 유사한 클럭을 지녔지만, L3 Cache 용량은 3600 32MBytes, 4650G는 8MBytes로 제법 차이가 나는 편입니다.

그러나 라이젠 3세대의 경우 인피니티 패블릭과 코어 다이가 분리되면서 DDR4 메모리 최대 3,800MHz에서 최적의 성능을 보이지만, 르누아르 4650G의 경우 DDR4 4,000MHz 초 중반 대로 세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L3 Cache 격차를 메꿀 수 있습니다.

게다가 내장 그래픽 카드는 고 클럭 메모리에서 보다 높은 성능을 보장하기 때문에 메모리 성능이 중요한 플랫폼이기도 합니다.

 

 

본 글에선 라이젠 5 4650G와 기가바이트 B550M 어로스 엘리트(AORUS ELITE)와 조합에서 과연 어떤 용도에 적합한지 살펴보려 합니다.

 

 

그러기 앞서 기가바이트 B550M 어로스 엘리트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기가바이트 어로스 엘리트는 M-ATX(24.4*24.4cm) 규격으로 라이젠 AM4 플랫폼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라이젠 3세대 이상 CPU 그리고 3세대 라데온 그래픽을 지원하고 있으며, 최신 플랫폼인 PCIE 4.0이 탑재되어 있어 M.2 NVMe와 그래픽 카드 대역폭을 보다 넓히는 특징을 지녔습니다. 이는 이전 B450 메인보드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 보실 수 있는 부분입니다.

 

 

전원부는 5+3페이즈 디지털 파워로 4.0GHz 초중반대로 구현되는 라이젠 CPU를 서포트하는데 크게 무리 없을 VRM을 갖추고 있습니다. 물론 10페이즈 이상이라면 보다 여유로운 운용이 가능할 테지만 4650G 실사용에 있어 큰 무리가 없을 전원부 구성입니다.

 

 

△ AMD B550 칩셋

 

 

 

메모리는 총 4개의 소켓으로 DDR4 2,133 MHz ~ 4,733 MHz까지 폭넓은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근래 JEDEC 국제 표준 메모리가 DDR4 3,200MHz으로 확장되면서, B550M 어로스 엘리트와 르누아르 CPU 조합은 국제 표준 3.200MHz를 완벽히 지원하고 있습니다. (인텔의 경우 DDR4 2,933 MHz까지 지원)

 

기가바이트 B550M 어로스 엘리트는 메인보드로서 최상위, 하이엔드급 서포트를 지원하진 않지만, 기본에 충실하면서 최신 메모리 클럭 지원 및 PCIE4.0, 양호한 전원부로 구성되어 있고 외장 그래픽을 사용하지 않는 APU 특성상 지원할 부분은 지원하면서, 금전적인 세이브가 가능한 메인보드로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기가바이트 550M 어로스 엘리트와 라이젠 5 프로 4650G을 세팅으로 사무용 작업 및 게이밍 성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 시스템 정보

CPU : RYZEN 5 PRO 4650G

RYZEN 5 3600

MAINBOARD : GIGABYTE B550M AORUS ELITE 피씨디렉트

RAM : G.SKILL TRIDENT NEO CL16

SSD : WD BLUE 500

CPU COOLING : FRATAL DESIGN CELSIUS PLUS S28

POWER : EVGA SUPERNOVA 650 GA 80 + GOLD

 

앞서 말씀드렸듯, 르누아르 CPU는 L3 캐시가 라이젠 3세대 CPU에 비해 적지만 DDR4 4,000 MHz 초중반까지 높은 대역폭의 메모리를 완벽 지원하기 때문에 고성능 메모리에 따른 성능 향상이 기대되는 편입니다.

 

수동 오버 클럭은 기가바이트 B550M 어로스 엘리트의 UEFI 바이오스 'Tweaker' 탭에서 거의 모든 설정이 이뤄집니다.

상단 이미지의 CPU Clock Ratio로 원하는 CPU 클럭 배수와 System Memory Multiplier를 통해 메모리 클럭을 설정 후, CPU 전압과 메모리 전압을 수동 기입하는 과정으로 오버클럭은 단순히 세팅할 수 있습니다.

한편, 기존 DDR4 3,600~3,800 MHz에선 SOC 전압을 1.100V 수준으로 설정하였다면, 4,000 MHz 이상 오버클럭에선 1.150V ~ 1.200V로 세팅하는 편이 안정화에 도움이 되니 참고 바라겠습니다.

 

아울러 예시 설정은 단순 참고용으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그대로 따라 하더라도 동일한 값을 도출하기란 어렵고 CPU와 메모리는 모두 같은 성능을 지니지 않고 제각각 수율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부품에 맞는 설정을 찾는 것이 수동 오버클럭 세팅의 포인트로 보실 수 있습니다.

만약 이와 같은 설정이 어렵다면 CPU 오버클럭은 하지 않고, 이미 세팅된 XMP 고 클럭 메모리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 기타 오버클럭 설정 부분

 

 

▲4650G 44배수, DDR4 4,200 MHz 오버클럭.

 

 

▲ AIDA64 Stress FPU를 통한 안정화 테스트

 

▲ HWINFO64 발열 모니터링

 

4650G는 라이젠 5 3600과 비교 시, 6~8도가량 낮은 온도로 발열 처리가 준수한 편입니다.

 

 

내장 그래픽이 탑재된 APU다 보니 외장 그래픽 RX580을 사용한 라이젠 시스템에 비해 170W 가량 낮은 소비 전력을 보입니다.

아울러 오버클럭을 하더라도 7~17W의 적은 전력 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기 요금 상승 폭은 적습니다.

 

작업용 PC로서 성능을 살펴보게 되면 라이젠 3600에 비해 좀 더 낮은 퍼포먼스를 보이지만 그 격차는 생각보다 적은 편입니다.

라이젠 3600 L3 캐시 용량이 더 커서 이런 결과를 얻게 되었지만 4650G는 고 클럭 메모리 및 오버클럭으로 그 갭을 좁혀나갈 수 있고, 이는 그래프를 통해 관찰할 수 있습니다.

 

 

압축 해제 성능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라이젠 3세대 구조상 DDR4 3,800MHz가 한계이지만 4650G의 경우 4,000MHz 이상 고 클럭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고, 이는 성능으로 직결되는 부분입니다.

 

 

OPEN CL을 사용하는 동영상 인코딩 프로그램의 경우 라데온 7 그래픽을 활용할 수 있으며, NVIDIA 그래픽 카드의 경우 CUDA를 통해 인코딩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따라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 지원 여부에 따른 편차가 존재하지만 동등한 OPEN CL 상황에서 라데온 7 내장 그래픽이 외장 그래픽 성능에 못 미칠 경우 격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 PCMARK10 벤치마크

 

 

▲ AIDA64 메모리 벤치마킹

대체로 영상 편집, 3D 그래픽 작업, 2D 작업에선 6코어 12스레드의 멀티 작업과 라이젠 5 3세대와 견주어 엇비슷하거나 미세하게 낮은 성능을 보이게 됩니다. 그러나 거듭 말씀드리게 되지만 변수로 작용하는 메모리 클럭에 따라 그 격차를 메꿀 수 있는 점이 르누아르 플랫폼의 포인트라 생각됩니다.

 

▲ 3DMARK SKY DIVER 그래픽 스코어 14,726

 

▲ DDR4 3,600 MHz에선 평균 45프레임으로 구동되는 게임이 DDR4 4,133 MHz에선 47프레임으로 소폭 향상

 

 

 

 

 

마치며

살펴본 라이젠 프로 르누아르는 외장 그래픽 카드가 필요 없는 유저들에게 금전적으로 세이브하면서 라이젠 3세대 수준의 CPU 성능으로 영상, 3D, 2D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캐주얼한 3D 게임에서 70~100 프레임 유지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아울러 함께 빌드 한 기가바이트 B550M AROUS ELITE는 보급형 답지 않은 오버클럭 지원으로 4650G와의 매칭이 양호하였습니다.

끝으로, 라이젠 프로 프로세서는 OEM 전용 라인업으로 HP, LENOVO 등 커머셜 전용 제품이지만, AMD 코리아의 코르나19에 따른 이례적인 경제 불황, 골목상권 소상공인을 위한 배려로 주문형 조립 PC에서도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 대기업 납품의 비매품 CPU를 컴퓨존이나 조이젠 등에서 빌드 하고 싶은 부품들과 함께 온라인 주문을 할 수 있고, 거주지 인근 PC 매장을 방문하여 오프라인 주문을 할 수 있어, 여러모로 국내 소비자 입장에서 어렵지 않게 르누아르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사견이지만 골목상권 살리기 명목으로 여러모로 좋은 풍경이라 생각되기도 합니다.

그럼, 이와 같은 말씀드리며 '라이젠 5 프로 4650G와 기가바이트 B550M 어로스 엘리트 '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관련하여 특징과 성능에 대해 판가름할 수 있길 바라며, 모쪼록 추구하시는 시스템 빌드에 있어 도움이 되는 글이었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피시디렉트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쓰였습니다. '

#르누아르, #라이젠, #AMD. #4650G성능, #4650G스펙, #기가바이트. #B550M어로스엘리트, #라이젠오버클럭가이드

댓글